본문 바로가기
각종 질의회신/↘ 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 관련 질의회시

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을 포함한 노동관계법상의 '근로자'와'근로자 과반수'의 의미는?

by Spurs-* 2023. 9. 10.

<목차>

1. 질문

2. 답변

3. 참조 및 관련 콘텐츠

[유의사항]

해당 게시글은 참조용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그러므로, 해당 게시글 또는 자료들을 법률적인 용도로 사용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찾으시는 키워드나 단어가 있을 경우 Ctrl+F를 사용하셔서 검색하시길 바라겠습니다.(PC기준)
보다 자세한 내용을 원하실 경우 관련 기관전문가분들에게 도움을 구하시길 바라겠습니다.

법령 개정으로 인하여 게시물에 있는 해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질문]

우리노조는 개별기업 단위의 사업장 지부로 구성되어 활동 중인 전국단위 산별노동조합으로 「근로기준법」제97조,「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제35조,「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 제6조,「파견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제5조에 규정한 “근로자과반수”,“상시 사용되는 동종의 근로자 과반수"의 용어에 대해 다음과 같이 질의함



질의1)위 법률에 있어 "근로자 과반수",“상시 사용되는 동종의 근로자 과반수”에 대한 의미



질의2)회사 업무의 보조성을 띄고 있는 아르바이트,회사는 다르나 파견으로 고용된 파견직 근로자, 회수 업무의 성과대로 받고 있는 촉탁직 등이 위 법률상 근로자 또는 상시 사용되는 동종의 근로자에 포함되는지



질의3)근참법 제6조제2항은 ‘근로자위원은 근로자가 선출하되,근로자의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있는 경우에는 노동조합의 대표자와 그 노동조합이 위촉하는 자로 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① 근로자의 과반수 이상 노동조합 판단 시「근로기준법」과 노동조합법의 사용자를 제외한 것인지 아니면 포함한 것인지 여부


② 단체협약에 ‘노사협의회는 회사와 조합(지부)이 구성하여 쌍방의 대표를 대표 위원으로 정하고 (근로자)대표위원이 위촉한 자를 (근로자)위원으로 한다’고 명시하고 있을 때,사업장의 상시근로자 과반수로 구성된 지부와 그렇지 못한 지부에서 위 단체협약 조항이 달리 적용되어야 하는지 여부 및 노동조합 지부의 조합원이 근로자 과반수가 아닌 경우 동 조항이 무효가 되고,근로자위원을 전체 근로자를 대상으로 새로 선출하여야 하는지 여부

 

 

 

[답변]

질의 1, 2에 대하여

「근로기준법」제97조는 사용자는 취업규칙을 작성,변경함에 있어 당해 사업 또는 사업장에 근로자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있는 경우에는 그 노동조합,없는 경우에는 근로자 과반수 동의를 얻거나 의견을 청취하도록 규정하고 있는바,여기서 “근로자 과반수”란「근로기준법」 제14조에 의한 근로자에 해당하는 자 중에서 동법 제15조에 의한 사용자를 제외한 자의 과반수를 의미한다고 사료됨


한편,「근로기준법」제15조에 의해 사용자의 지위를 갖는「근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사업주를 위하여 행위 하는 자」는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사업주나 사업경영담당자로부터 일정한 권한과 책임을 부여받은 자로서 직급이나 명칭을 가지고 일률적으로 판단할 수는 없다고 사료됨


귀 질의 상의 소위 ‘아르바이트’나 ‘촉탁직 근로자’가 사업 또는 사업장에서 임금을 목적으로 근로를 제공하는 자에 해당한다면「근로기준법」제97조의 “근로자 과반수”에 포함될 수 있다고 사료되나,소속 히사가 다른 ‘파견직 근로자’는 사용 사업장의 “근로자 과반수”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사료됨


「파견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제5조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파견근로자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사업주와 당해 사업장의 근로자간 협의요건(동법 제5조제3항 참조)을 규정한 취지는 파견근로 필요성 등에 대하여 사업주와 근로자간 성실한 협의를 통하여 예외적으로 파견이 이루어 지도록 한 것이므로,파견사업주가 고용한 근로자로서 근로자파견의 대상이 되는 자(동법 제2조 제5호 참조)는 동법 제5조제3항 규정의 사용사업주의 “근로자 과반수”에 포함되지 않음


귀 질의만으로는 단체협약의 내용 등 구체적 사실관계를 알 수 없어 명확한 회시가 어려우나,「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제35조의 "상시 사용되는 동종의 근로자”라 함은 원칙적으로 근로자의 지위나 종류,고용기간의 정함의 유무 또는 근로계약상 명칭에 구애됨이 없이 사업(장)에서 사실상 계속적으로 상용되고 있는 동종의 근로자 전부를 의미하는 것이나,단체협약에 직종별 적용 범위가 특정되어 있거나 그 단체협약의 내용에 비추어 보아 근로자의 고용계약 및 작업 내용, 형태가 상이하여 단체협약의 적용이 예상되지 않는 근로자의 경우에는 동종의 근로자로 보기 어려울 것임




질의 3에 대하여

「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이하 “근참법")」의 근로자는「근로기준법」상의 근로자를 말하므로「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의 근로자와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라 할 것이고,근참법상 “근로자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 여부 판단 시 근로자의 범위는「근로기준법」제14조에 의한 근로자에 해당하는 자 중에서 동법 제15조에 의한 사용자를 제외한 자의 과반수를 의미한다고 할 것임


현행 근참법상의 노사협의회는 근로조건의 결정권이 있는 사업 또는 사업장 단위로 설치하여 당해 사업 또는 사업장의 근로자의 복지증진과 기업의 건전한 발전을 도모하는 협의기구로 근로자위원 위촉권과 관련된 노조의 근로자 과반수 조직여부는 노사협의회 설치 단위인 각 사업 또는 사업장별로 판단되어야 할 것인바,귀 노동조합 지부의 조합원이 해당 사업 또는 사업장 근로자의 과반수가 아닐 경우 근로자위원 위촉권이 없다고 할 것임

참고: 협력 68210-346, 2003.9.30

[관련 콘텐츠]

끝.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