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유의사항]
※ 해당 게시글은 참조용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그러므로, 해당 게시글 또는 자료들을 법률적인 용도로 사용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 찾으시는 키워드나 단어가 있을 경우 Ctrl+F를 사용하셔서 검색하시길 바라겠습니다.(PC기준)
※ 보다 자세한 내용을 원하실 경우 관련 기관 및 전문가분들에게 도움을 구하시길 바라겠습니다.
※ 법령 개정으로 인하여 게시물에 있는 해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질문]
※ 당 공단의 경우 전국에 161개의 지사가 산재되어 있으나(직원 수가 30인 이상인 지사가 절대 다수임) 각 지사장은 해당 지사 직원의 업무분장권만을 가지고 있고 직원의 전보•승진•임금책정-근로시간 결정 등의 모든 근로결정권은 본부에서 관장하는 고유 업무이므로 본부에 노사협의회를 설치/운영하면서 전국적인 사항을 다루고 지사에는 노사협의회를 설치하지 않기로 노사 합의하였는바, ※ 「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제4조 노사협의회 설치에 관한 규정은 이후에 나오는 다른 각 칙의 전제가 된다고 할 때 동법 제26조 “모든 사업 또는 사업장’의 의미를 제4조의 “근로조건의 결정권이 있는 사업 또는 사업장”의 개념으로 이해하여 근로조건 결정권이 없는 각 지사에는 고충처리 위원을 선임하지 않고 본부에만 고충처리위원회를 구성/운영하여 각 지사 직원의 고충사항을 처리하는 경우 법 제32조(벌칙)에 저촉되는지? |
[답변]
※ 「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제26조 및 시행령 제7조에 따라 상시 30인 이상 근로자를 사용하는 모든 사업 또는 사업장은 고충처리위원을 두어야 함. -. 따라서 귀 공단의 경우처럼 지역을 달리하는 지사의 근로자 수가 30인 이상일 경우 각 지사별로 고충처리위원을 배치하여야 할 것임 |
참고: 노사 68107-92, 1999.3.18 |
[관련 콘텐츠]
끝.
'각종 질의회신 > ↘ 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 관련 질의회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충처리위원 1인이 고충을 처리하였을 경우 타당성 유무는? (1) | 2023.11.17 |
---|---|
고충처리위원이 비조합원인 근로자의 고충도 처리할 수 있는지 여부는? (0) | 2023.11.17 |
고충처리를 위한 사무실 운영 방법은? (0) | 2023.11.16 |
고충처리제도의 취지와 목적은? (1) | 2023.11.16 |
노사협의회 협의사항이 임의중재 대상인지 여부는? (0) | 2023.11.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