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사총무)업무정보

아르바이트도 퇴직금 받을 수 있을까? 퇴직금 지급 기준 정리

by Spurs-* 2025. 4. 18.

아르바이트도 퇴직금을 받을 수 있을까?

아르바이트로 오랜 기간 근무했지만, 퇴직금이 지급되지 않는다면 억울할 수 있습니다. 2년이 넘는 기간 동안 일했지만, 4대 보험 가입 없이 세금 3.3%만 공제되었다면 퇴직금 받을 수 있을까요? 또한, 사장이 ‘3.3% 사업소득자는 퇴직금 대상이 아니다’라고 말한 것이 맞는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아르바이트 퇴직금 지급 요건

■ 퇴직금 받을 수 있는 기본 조건

퇴직금은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퇴직급여법) 에 따라 근로자라면 누구나 받을 수 있습니다. 아르바이트든 정규직이든, 다음 조건을 충족하면 퇴직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1. 1년 이상 근무

  • 퇴직 전까지 1년 이상 계속 근무한 경우 퇴직금 지급 대상
    2. 주 15시간 이상 근무
  • 주 평균 15시간 이상 근무한 경우 퇴직금 지급 대상
    3. 근로자 신분이 인정될 것
  • 4대 보험 가입 여부와 상관없이 실제 근로자였다면 퇴직금 대상

즉, 주휴수당을 받을 만큼 근무했다면 주 15시간 이상 근무했을 가능성이 크므로, 퇴직금 받을 수 있는 조건을 충족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3.3% 사업소득자라서 퇴직금 못 받는다는 말, 사실일까?

사장이 "3.3% 사업소득자는 퇴직금 대상이 아니다"라고 답한 이유는,
3.3% 소득세를 공제한 근로자는 사업소득자로 분류되어 근로자가 아니라고 주장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세금 공제 방식이 근로자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아닙니다.
실제 업무 형태가 ‘근로자’였다면, 퇴직금 받을 수 있습니다.

 

근로자 vs. 프리랜서(사업소득자) 구분 기준

구분 근로자(퇴직금 지급 대상) 사업소득자(퇴직금 지급 대상 아님)
출퇴근 여부 정해진 출퇴근 시간 있음 자유롭게 근무
지휘·감독 여부 사장의 지시를 따름 본인이 업무 결정
급여 지급 방식 월급, 시급 형태로 급여 지급 용역 계약 형태로 비용 지급
퇴직금 여부 1년 이상 근무 시 지급 대상 지급 대상 아님

즉, 출퇴근을 하고, 사장의 지시에 따라 근무했다면 ‘근로자’로 인정될 가능성이 높으며, 퇴직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 퇴직금 계산 방법

퇴직금은 평균임금(최근 3개월 치 급여 기준) × 근무 연수 × 30일로 계산됩니다.

퇴직금 계산 공식
퇴직금 = (최근 3개월 평균임금 ÷ 3) × 근속연수 × 30일

예제

  • 최근 3개월 총 급여: 180만 원 (월 60만 원씩)
  • 근속기간: 2년 2개월 → 2.17년
  • 퇴직금 계산: (180만 원 ÷ 3) × 2.17 × 30일 = 130만 원 정도

즉, 퇴직 직전 3개월 동안 받은 월급이 많을수록 퇴직금도 증가합니다.

 

 

■ 퇴직금을 못 받을 경우 대처 방법

1. 사장에게 정식으로 요청하기

  • 퇴직금 지급 요청서를 작성하여 제출
  • "근로자로 1년 이상 근무했고, 주 15시간 이상 일했으므로 법적으로 퇴직금을 지급해야 합니다."

2. 증거 자료 확보하기

  • 급여 명세서, 근무 일정표, 주휴수당 지급 내역
  • 출퇴근 기록(출퇴근 시간 고정된 경우 근로자 인정 가능)

3. 노동청(고용노동부) 신고

  • 사장이 퇴직금을 지급하지 않으면 노동청에 신고 가능
  • 온라인 신고 또는 직접 방문하여 진정서 제출

4. 법적 대응(체불임금 소송)

  • 노동청에서 해결되지 않는다면 법적 소송을 통해 퇴직금 청구 가능

 

 

아르바이트도 근로자라면 퇴직금 받을 수 있다

세금을 3.3% 공제했더라도, 실제 근무 형태가 근로자였다면 퇴직금 지급 대상이 됩니다. 따라서, 1년 이상 근무하고 주 15시간 이상 일했다면 퇴직금을 받을 수 있으며, 사장이 지급을 거부할 경우 노동청에 신고할 수 있습니다.

 

✔ 핵심 정리

  • 아르바이트도 1년 이상, 주 15시간 이상 근무했다면 퇴직금 지급 대상
  • 3.3% 사업소득세를 냈어도 실제 근로자로 일했다면 퇴직금 받을 수 있음
  • 퇴직금을 지급하지 않으면 노동청에 신고 가능
  • 퇴직금 계산은 평균임금(3개월) × 근속연수 × 30일 공식 적용

결론적으로, 사장이 퇴직금 지급을 거부하더라도, 법적으로 대응하면 받을 수 있는 가능성이 높습니다.

 

'(인사총무)업무정보' 카테고리의 글 목록

일상생활속에서 얻게 되는 정보를 함께 나누고 싶습니다.

lecaf.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