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유의사항]
※ 해당 게시글은 참조용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그러므로, 해당 게시글 또는 자료들을 법률적인 용도로 사용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 찾으시는 키워드나 단어가 있을 경우 Ctrl+F를 사용하셔서 검색하시길 바라겠습니다.(PC기준)
※ 보다 자세한 내용을 원하실 경우 관련 기관 및 전문가분들에게 도움을 구하시길 바라겠습니다.
※ 법령 개정으로 인하여 게시물에 있는 해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질문]
※ OO중앙회는 전국에 걸쳐 40개의 지회가 설립되어 있고 근로조건의 결정권은 중앙회장에게 있으며,지방의 각 지회장에게 채용,임금,근로시간,승급,배치전환,휴가,안전위생,재해보상 등 근로조건에 대한 포괄적 결정권이 위임되어 있음 ※ 근로자 수가 30인 이상이고 근로조건에 대한 포괄적 결정권이 있는 각 지방 지회가 노사협의회 설치에 있어서 근참법 제4조제1항에 의거하여 의무 설치대상인지? ※ 근참법 제4조제2항과 동법 시행령 제2조제2항에 따라 중앙회에만 노사협의회를 설치하고 각 지회에는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건지? |
[답변]
※ 「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이하 "근참법”이라 한다.)에서 노사협의회는 근로조건에 대한 결정권이 있는 상시근로자 30인 이상을 사용하는 사업이나 사업장 단위로 설치하도록 하면서 하나의 사업에 지역을 달리하는 사업장이 있을 경우에는 그 사업장에도 설치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음 ※ 이와 같이 근참법상 노사협의회 설치단위를 근로조건의 결정권이 있는 사업(장)으로 정한 취지가 동법 제20조 내지 제22조에 정한 협의사항,의결사항,보고사항 등이 해당 사업(장)의 노,사대표로 구성된 노사협의회에서 원활하게 논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에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임금,근로시간,승급,배치전환,휴가,안전위생,재해보상 등 근로조건에 관한 포괄적 결정권을 가지고 있는 사업(장)분만 아니라 이러한 권한 중 일부를 위임받아 결정할 수 있는 사업(장)도 노사협의회를 설치하여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임 ※ 귀 질의내용과 같이 근로조건의 결정권이 본사에 있는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본사에 노사협의회를 설치하여야 할 것이나,지역을 달리하는 사업장에 별도의 노사협의회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할 것임. 따라서 지역을 달리하는 사업장에 이미 별도의 노사협의회를 설치,운영하고 있는 경우라면 이를 제외한 나머지 사업장을 묶어 중앙단위 노사협의회를 설치하더라도 법에 위배된다고 보기는 어려울 것임 다만,이와 같이 중앙단위 노사협의회를 설치하는 경우 등 노사협의회의 근로자위원은 중앙회는 물론 각 지회 근로자들(노사협의회가 기 설치된 지회 근로자는 제외)이 모두 참여하여 선출하여야 할 것임(법 제6조제3항 및 시행령 제3조제1항) |
참고: 노사협력정책과-771, 2008.5.14 |
[관련 콘텐츠]
끝.
'각종 질의회신 > ↘ 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 관련 질의회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파트관리사무소의 노사협의회 설치 및 당연직 사용자위원 (0) | 2023.09.12 |
---|---|
본사가 아닌 지점의 노사협의회 설치 여부는? (0) | 2023.09.12 |
사용자위원인 대표이사가 계속 회의에 불참할 경우 제재 가능 여부는? (0) | 2023.09.11 |
과반수 노조 여부 판단 시 근로자와 사용자의 범위는? (0) | 2023.09.11 |
유노조 사업장의 경우 노사협의회 설치 예외를 인정해야 하는지 여부는? (0) | 2023.09.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