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사총무)업무정보

DC형 퇴직연금 미납, 지연이자까지 청구할 수 있을까?

by Spurs-* 2025. 4. 24.

DC형 퇴직연금이 미납되었다면?

퇴직연금 제도 중 DC형(확정기여형, Defined Contribution) 퇴직연금은 회사가 매년 근로자의 퇴직금을 연금 계좌에 적립하는 방식입니다. 하지만, 회사가 지난 몇 년간 퇴직연금 적립을 하지 않았다면, 지연이자를 청구할 수 있을까요? 오늘은 DC형 퇴직연금 미납 시 법적 대응 방법과 지연이자 청구 가능 여부를 살펴보겠습니다.

 

 

DC형 퇴직연금 미납과 법적 문제

■ DC형 퇴직연금 미납, 법적으로 문제될까?

퇴직연금제도(DC형)는 ‘퇴직급여 보장법’에 따라 회사가 매년 적립해야 하는 법적 의무가 있음.
회사가 적립하지 않았다면, 근로자는 미납된 금액뿐만 아니라 지연이자도 청구할 수 있음.

📌 퇴직급여보장법 제16조(퇴직연금 부담금 납입 의무)

  • 사용자는 매년 근로자의 임금 총액의 1/12 이상을 퇴직연금 계좌에 납입해야 함
  • 이를 어길 경우, 퇴직연금 미납에 대한 지연이자를 지급해야 함

즉, 회사가 DC형 퇴직연금을 적립하지 않았다면, 미납된 금액뿐만 아니라 법적으로 지연이자까지 지급해야 합니다.

 

 

■ DC형 퇴직연금 미납 시 지연이자 청구 가능 여부

미납 퇴직연금에 대한 지연이자는 청구 가능
퇴직급여보장법 제21조에 따라, 회사가 미납한 퇴직연금에 대해 연 6% 이상의 지연이자를 지급해야 함
근로자가 퇴직할 때까지 미납 금액을 정산하지 않았다면, 퇴직 후에도 지연이자 청구 가능

📌 지연이자율: 연 6% 이상 (퇴직급여 보장법 시행령에 따라 변동 가능)

📌 예제 계산 (미납 퇴직연금 500만 원, 2년간 미납 시)

  • 500만 원 × 연 6% × 2년 = 60만 원의 지연이자 발생
  • 즉, 근로자는 미납된 퇴직연금 500만 원 + 지연이자 60만 원을 청구 가능

 

 

■ DC형 퇴직연금 미납 시 대응 방법

1. 회사에 공식적으로 퇴직연금 납입 요청하기

  • 퇴직 전 회사에 퇴직연금 미납 내역을 확인하고, 지급 요청 공문(내용증명) 발송
  • 요청 시 지연이자 포함 지급을 요구하는 것이 중요

2. 퇴직연금 운용사(금융사)에 문의하기

  • 가입된 퇴직연금 운용사(은행, 증권사 등)에 문의하여 미납 내역 확인 가능
  • 금융사에서 직접 회사의 미납금 납부를 독촉할 수 있음

3. 고용노동부에 신고하기

  • 회사가 퇴직연금을 납부하지 않은 것은 법 위반이므로 노동청(고용노동부)에 신고 가능
  • 신고 후 고용노동부가 회사에 미납 퇴직연금 납부를 명령할 수 있음

4. 법적 조치 (체불임금 소송)

  • 퇴직 후에도 미납 퇴직연금과 지연이자가 지급되지 않으면, 법적 소송 진행 가능
  • 퇴직연금 미납은 근로기준법상 임금 체불로 간주될 수 있어, 소송을 통해 지급 명령 받을 수 있음

 

 

DC형 퇴직연금 미납, 지연이자 포함 청구 가능!

DC형 퇴직연금은 회사가 매년 납입해야 하는 법적 의무가 있으며, 회사가 이를 미납했다면 퇴직할 때 미납된 금액과 함께 지연이자를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핵심 정리

  • DC형 퇴직연금은 매년 근로자의 임금 1/12 이상을 적립해야 함
  • 미납 시 연 6% 이상의 지연이자 청구 가능
  • 퇴직 전 회사에 공식적으로 납입 요청 후, 지급되지 않으면 노동청 신고 가능
  • 금융사(퇴직연금 운용사)에 미납 내역 문의 및 법적 조치 검토 가능

결론적으로, 퇴직 후라도 퇴직연금 미납분과 지연이자 청구가 가능하므로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인사총무)업무정보' 카테고리의 글 목록

일상생활속에서 얻게 되는 정보를 함께 나누고 싶습니다.

lecaf.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