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유의사항]
※ 해당 게시글은 참조용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그러므로, 해당 게시글 또는 자료들을 법률적인 용도로 사용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 찾으시는 키워드나 단어가 있을 경우 Ctrl+F를 사용하셔서 검색하시길 바라겠습니다.(PC기준)
※ 보다 자세한 내용을 원하실 경우 관련 기관 및 전문가분들에게 도움을 구하시길 바라겠습니다.
※ 법령 개정으로 인하여 게시물에 있는 해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질문]
※ 근로자위원 10명 중 1 명의 근로자위원이 유고/사퇴 상황 발생으로 해당 공석을 채우기 위해 보궐선거를 진행하여야 하는 상황에서 - 당사 협의회규정에는 근참법 시행령 제3조제2항 단서규정에 따른 내용이 명시되어 있지 않아 추가로 부족한 1명의 근로자위원을 선출하기 위해 보궐선거 시 간접선거로 선출하고자 하는 상황임 ※ 이때 기존 선거 시 선출된 위원선거인이 보궐선거에 참여하여도 되는지 |
[답변]
※ 노사협의회 근로자위원은 당해 사업 또는 사업장의 전체 근로자를 대표하는 자로서 선출 시점에서의 전체 근로자를 대표하는 자를 근로자위원으로 선출해야 하며, - 이 경우,새로이 근로자위원을 선출해야 하는 경우에는 기존의 위원선거인이 선출된 시점에 비해 근로자의 수 및 구성,조직 구성 등에 변화가 있을 수 있는 만큼, - 근로자위원 선출을 기존 위원선거인의 투표를 통해 선출하는 것은 허용되기 어렵다 할 것임 |
참고: 노사관계법제과-1316, 2021.5.24 |
[관련 콘텐츠]
끝.
'각종 질의회신 > ↘ 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 관련 질의회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로자 과반수가 참여하지 아니한 근로자위원 선출투표의 유효성은? (0) | 2023.10.18 |
---|---|
근로자참여법 제6조제2항의 ‘부득이한 경우’와 ‘부서별’의 의미는? (0) | 2023.10.17 |
노사협의회 설치준비위원회가 공고한 근로자위원 선출투표가 적법할까? (0) | 2023.10.17 |
근로자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의 근로자위원 해촉권은? (1) | 2023.10.16 |
협의회규정상 근로자위원을 간접선거로 선출하도록 규정하고 있더라도근참법에 따라 직접선거로 근로자위원을 선출할 수 있을까? (0) | 2023.10.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