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사총무)업무정보

시간제 근로자 vs. 일용직 근로자, 차이점과 4대보험 가입 기준 정리

by Spurs-* 2025. 4. 4.

시간제 근로자와 일용직 근로자의 차이, 정확히 알아야 하는 이유

근로 형태에는 정규직, 계약직, 프리랜서 등 다양한 방식이 있지만, 시간제 근로자와 일용직 근로자는 특히 헷갈리기 쉽습니다.
두 근로 형태는 근무 시간과 계약 방식에 따라 구분되며, 4대보험 가입 여부에도 차이가 있습니다.
또한, 근로내용확인신고서는 언제 신고해야 하는지도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시간제 근로자와 일용직 근로자의 차이점

■ 시간제 근로자란?

시간제 근로자는 고용계약을 맺고 일정 기간 동안 정해진 시간만큼 근무하는 근로자를 의미합니다.

  • 고용계약 기간이 존재하며, 지속적으로 근무하는 형태
  • 주 15시간 이상 근무 시 4대보험 가입 대상
  • 급여는 시급 기준으로 계산되며, 일정한 패턴으로 근무

예시
✔ 주 3일, 하루 4시간씩 근무하는 카페 아르바이트 직원
✔ 매주 일정 시간 근무하는 학원 보조 강사

 

 

■ 일용직 근로자란?

일용직 근로자는 하루 단위로 계약이 이루어지는 근로자를 의미합니다.

  • 계약 기간 없이 하루 또는 단기적으로 근무
  • 한 달 동안 60시간 미만 근무할 경우 4대보험 가입 제외 가능
  • 건설업, 행사 도우미, 단기 프로젝트 등 단발성 업무가 많음

예시
✔ 하루 단기 계약으로 일하는 건설 노동자
✔ 이벤트 행사에서 하루 근무하는 안내 직원

 

 

■ 4대보험 가입 기준 차이

4대보험(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은 근로자의 고용 형태에 따라 가입 여부가 달라집니다.

근로 형태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시간제 근로자 주 15시간 이상이면 가입 주 15시간 이상이면 가입 주 8시간 이상이면 가입 의무 가입
일용직 근로자 월 8일 이상 근무 시 가입 월 8일 이상 근무 시 가입 하루라도 근무하면 가입 의무 가입

 

 

핵심 정리
시간제 근로자는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면 4대보험 가입 필수
일용직 근로자는 하루 근무하더라도 고용·산재보험 가입, 월 8일 이상이면 국민연금·건강보험 가입

 

 

■ 근로내용확인신고서는 언제 신고해야 할까?

근로내용확인신고서는 근로자의 4대보험 가입 및 고용보험 적용을 위해 사업주가 제출해야 하는 서류입니다.

일용직 근로자의 경우

  • 한 사업장에서 월 8일 이상 근무하는 경우 신고 필수
  • 사업주는 근로 시작 후 14일 이내에 신고해야 함

시간제 근로자의 경우

  • 주 15시간 이상 근무할 경우 고용보험 및 건강보험 가입을 위해 신고해야 함
  • 신규 채용 시 근로 시작 후 14일 이내 신고

🚨 사업주가 신고하지 않으면?

  • 고용보험 미가입으로 인해 근로자가 실업급여를 받을 수 없게 됨
  • 사업주에게 과태료 부과 가능

 

 

시간제 근로자와 일용직 근로자는 계약 형태와 4대보험 가입 기준이 다르다

시간제 근로자와 일용직 근로자는 근로 계약 방식과 4대보험 가입 기준에서 큰 차이가 있습니다.
특히, 사업주는 근로내용확인신고서를 반드시 제출해야 하며, 미제출 시 근로자가 실업급여 등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 핵심 정리

  • 시간제 근로자: 일정한 근무 일정이 있으며, 주 15시간 이상이면 4대보험 가입 필수
  • 일용직 근로자: 하루 단위로 계약하며, 월 8일 이상 근무 시 국민연금·건강보험 가입
  • 근로내용확인신고서는 4대보험 가입을 위해 필수 제출해야 함

따라서, 근로 계약을 맺기 전 근로 형태를 정확히 이해하고, 4대보험 가입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인사총무)업무정보' 카테고리의 글 목록

일상생활속에서 얻게 되는 정보를 함께 나누고 싶습니다.

lecaf.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