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유의사항]
※ 해당 게시글은 참조용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그러므로, 해당 게시글 또는 자료들을 법률적인 용도로 사용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 찾으시는 키워드나 단어가 있을 경우 Ctrl+F를 사용하셔서 검색하시길 바라겠습니다.(PC기준)
※ 보다 자세한 내용을 원하실 경우 관련 기관 및 전문가분들에게 도움을 구하시길 바라겠습니다.
※ 법령 개정으로 인하여 게시물에 있는 해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질문]
※ 고충처리위원을 순환제로 운영하기로 결정한 경우 사용자의 일방적 통보만으로 고충처리위원을 변경할 수 있는지 |
[답변]
※ 근참법 제27조제1항 따라 고충처리위원은 노사를 대표하는 3명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하되,협의회가 설치되어 있는 사업이나 사업장의 경우에는 협의회가 그 위원 중에서 선임하고,협의회가 설치되어 있지 아니한 사업이나 사업장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위촉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 같은 조 제2항에 따라 고충처리위원의 임기는 3년으로 하되,연임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음 -. 아울러,근참법 시행령 제5조제7호에서는 ‘고충처리위원의 수 및 고충처리에 관한 사항’을 협의회규정의 필요적 기재사항으로 정하고 있음 ※ 고충처리위원의 임기를 3년 이내로 정하여 순환제로 변경하는 것은 고충처리위원의 임기를 보장하고 있는 근참법의 취지에 위배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 아울러,고충처리위원의 운영 방식 등을 변경할 경우에도 협의회규정에 구체적인 내용을 정하고,이에 따라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임 |
참고: 노사관계법제과-598, 2021.3.3 |
[관련 콘텐츠]
끝.
'각종 질의회신 > ↘ 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 관련 질의회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충처리위원 2명 중 1명이 퇴사하여 결원이 발생한 경우 고충처리위원을 두지 않은 것에 해당할까? (0) | 2023.11.19 |
---|---|
협의회규정으로 고충처리대상을 제한하거나 고충처리절차를 정할 수 있을까? (0) | 2023.11.19 |
근로자위원 중 여성 근로자위원은 반드시 고충처리위원을 겸임하도록할 수 있는지? (0) | 2023.11.18 |
고충처리위원이 일정기간 사업장을 순회하며 근로자의 고충을 청취한경우 근로한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지? (1) | 2023.11.18 |
고충처리는 언제까지 완료하여야 하는지? (0) | 2023.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