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유의사항]
※ 해당 게시글은 참조용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그러므로, 해당 게시글 또는 자료들을 법률적인 용도로 사용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 찾으시는 키워드나 단어가 있을 경우 Ctrl+F를 사용하셔서 검색하시길 바라겠습니다.(PC기준)
※ 보다 자세한 내용을 원하실 경우 관련 기관 및 전문가분들에게 도움을 구하시길 바라겠습니다.
※ 법령 개정으로 인하여 게시물에 있는 해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질문]
※ 조직대상을 달리하는 A(전체근로자의 30% 구성),B(전체근로자의 70% 구성)의 노동조합이 있는 경우 ,A노조는 전체의 30% 를 구성하고 있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여 조직된 노동조합이지만 ,A조직대상 근로자의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이므로 「근로자참여및협력증진에관한법률」제6조제2항에서 규정하고 있는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에 포함되어 근로자위원으로서 대표권을 행사할 수 있는지? |
[답변]
※ 노사협의회는 「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제4조에 노동조합의 조직대상 단위가 아니라 근로조건 결정권이 있는 사업(장) 단위로 설치하여야 하며,동법 제6조에서는 근로자위원은 근로자가 선출하되,근로자의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있는 경우에는 노동조합의 대표자와 그 노동조합이 위촉하는 자로 하도록 정하고 있음. 이 경우 “근로자의 과반수”는 근로기준법 제2조에 의한 근로자에 해당하는 자 중에서 사용자를 제외한 자의 과반수를 의미함 ※ 따라서 귀 질의와 같이 만약「A노동조합」이 사용자를 제외한 전체 근로자의 과반수노조가 아니라면 「A노동조합」에서 근로자위원을 위촉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사료됨 |
참고: 노사협력정책과-2637, 2008.10.29 |
[관련 콘텐츠]
끝.
'각종 질의회신 > ↘ 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 관련 질의회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로자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 여부 판단 시 근로자의 범위는? (1) | 2023.10.06 |
---|---|
복수노조 하의 근로자위원 선출방식(2) (0) | 2023.10.05 |
전임 근로자위원의 추천,지명 등으로 선발된 근로자위원의 자격 (1) | 2023.10.05 |
학교법인 이사장이 아닌 대학 총장을 당연직 사용자위원으로 위촉할 수있는지? (0) | 2023.10.04 |
외국계 기업의 한국지사장이 노사협의회 당연직 사용자위원이 될 수 있는지? (1) | 2023.10.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