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유의사항]
※ 해당 게시글은 참조용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그러므로, 해당 게시글 또는 자료들을 법률적인 용도로 사용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 찾으시는 키워드나 단어가 있을 경우 Ctrl+F를 사용하셔서 검색하시길 바라겠습니다.(PC기준)
※ 보다 자세한 내용을 원하실 경우 관련 기관 및 전문가분들에게 도움을 구하시길 바라겠습니다.
※ 법령 개정으로 인하여 게시물에 있는 해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질문]
※ 비정규직 채용 관련하여 2009년도 노사협의회 의결사항으로 합의하였음에도 2012년 단체교섭에서 비정규직 채용 관련 규정으로 단체협약이 다르게 체결된 경우 효력은? |
[답변]
※ 귀 질의서상의 내용만으로는 사실관계 파악이 어려운 관계로 정확한 답변은 곤란하나,「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이하 ‘근참법’이라 한다)상 노사협의회는 근로자와 사용자가 상호 협조하여 근로자의 복지증진과 기업의 건전한 발전을 도모함을 목적으로 하는 협의기구로서 근로자가 주체가 되어 자주적으로 단결하여 근로조건의 유지•개선 및 근로자의 경제적•사회적 지위향상을 목적으로 조직하는 (연합)단체인 노동조합과는 그 제도적 취지를 달리하는 것으로,근참법 제5조에서 노동조합의 단체교섭 기타 모든 활동은 이 법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규정하고 있음 ※ 따라서,단체협약에 규정된 사항과 노사협의회 의결사항은 그 주체와 방법•절차분 아니라 효력에 있어서도 서로 다른 사항으로 원칙적으로 병존 가능함 |
참고: 노사협력정책과-3965, 2012.12.14 |
[관련 콘텐츠]
끝.
'각종 질의회신 > ↘ 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 관련 질의회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사협의회 의결을 단체협약 체결로 볼 수 있는 경우는? (0) | 2023.11.13 |
---|---|
근로시간 변경에 대한 노사협의회 의결의 효력은? (0) | 2023.11.12 |
직능별 분과협의회 결과를 불이행한 경우 법 위반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1) | 2023.11.12 |
노사협의회에서 의결한 ‘비정규직 채용제한 및 성능장의 정규직배치’에관한 사항을 회사가 불이행한 경우 법 위반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0) | 2023.11.11 |
근로자위원 과반수가 참석하지 않은 노사협의회에서 의결한 사항의 효력 여부는? (0) | 2023.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