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유의사항]
※ 해당 게시글은 참조용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그러므로, 해당 게시글 또는 자료들을 법률적인 용도로 사용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 찾으시는 키워드나 단어가 있을 경우 Ctrl+F를 사용하셔서 검색하시길 바라겠습니다.(PC기준)
※ 보다 자세한 내용을 원하실 경우 관련 기관 및 전문가분들에게 도움을 구하시길 바라겠습니다.
※ 법령 개정으로 인하여 게시물에 있는 해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질문]
※ 노사협의회에서 ‘비정규직(일용,외주인원)의 직접생산 투입은 하지 않는다’,‘향후 성능장은 정규직으로 운용하고 결원 시에는 노사협의하여 운용한다’라고 합의하고,노사협의회 위원들이 과반수 이상 출석한 상태에서 출석위원 전원이 서명하였음 ※ 노사협의회 이후 사측이 노조와 협의없이 비정규직 채용 등을 한 경우 법 제24조(의결사항의 이행)를 위반한 것에 해당하는지? |
[답변]
※ 「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이하 ‘근참법’이라 한다)은 노사 쌍방이 참여와 협력을 통하여 노사공동의 이익을 증진하고 산업평화를 도모함을 목적으로 하는바,근참법 제20조 협의사항 중 ‘근로자 채용•배치 및 교육훈련’에 대한 사항은 어떤 특정인물을 채용한다거나 특정인을 특정직무에 배치하여야 하는 것 까지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나, ※ 귀 질의내용과 같이 ‘비정규직의 채용 제한 및 성능장의 정규직 배치’와 같은 사안은 개별적인 사안이 아닌 근로자의 채용,배치와 관련하여 고용형태에 대한 일정한 기준을 정한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이는 근참법 제20조제1항제2호 또는 제17호의 협의사항에 해당된다고 사료됨 ※ 따라서,이 사항은 근참법 제20조제2항에 따라 의결할 수 있으며,의결된 내용을 정당한 사유없이 이행하지 않을 경우 같은 법 제24조 및 제30조제2호에 따라 처벌대상이 될 수 있을 것임 |
참고: 노사협력정책과-1687, 2010.7.2 |
[관련 콘텐츠]
끝.
'각종 질의회신 > ↘ 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 관련 질의회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사협의회 의결사항과 단체협약 규정이 다를 경우 효력은? (1) | 2023.11.12 |
---|---|
직능별 분과협의회 결과를 불이행한 경우 법 위반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1) | 2023.11.12 |
근로자위원 과반수가 참석하지 않은 노사협의회에서 의결한 사항의 효력 여부는? (0) | 2023.11.11 |
노사협의회에서 의결한 사항을 노사합의로 볼 수 있는지 여부는? (0) | 2023.11.11 |
노사협의회에서 의결된 사항의 적용범위와 효력기간은? (0) | 2023.11.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