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정근로시간2 쉽게 풀어낸 7가지 노동법 - (2). 근로시간 Intro. '고용노동부'에서는 소규모 사업장의 사장님들과 근로자분들이 쉽게 이해 할 수 있도록 노동관계법령을 아래와 같이 7가지 항목으로 나뉘어 안내서를 제작하였습니다. 그 중 두번째인 근로시간에 관한 내용을 같이 살펴보겠습니다. 1). 근로계약 2). 근로시간 3). 임금 4). 최저임금 5). 모성보호 6). 해고 7). 퇴직급여 [워라밸의 핵심 '근로시간'] [근로시간의 개념] [근로시간은] 사용자의 지휘, 감독하에 있는 시간 실제 작업시간 및 근로자의 노동력이 사용자의 지휘감독 아래 놓인 시간 작업의 개시부터 종료까지의 시간에서 휴게 시간을 제외한 시간 [대기시간] 사용자의 지휘 ,감독 하에 있는 대기시간은 근로시간 [교육시간] 근로자에게 의무적으로 실시하는 각종 교육시간은 근로시간 [워크숍/세.. 2021. 5. 27. (인사/총무) - 대체..왜 '209시간'일까? 왜 209시간이 기준일까? 임금을 계산할 때 또는 한달에 근무시간을 표현할 때 많이 듣는 ‘209시간’ 하루에 8시간 근무하고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하면 5일이고 그렇게 하면 한주에 40시간이고, 한달에 4주정도니깐 그럼 최소 한달에 160시간에서 많으면 180시간 정도 일텐데.... 왜 209시간이 표준 근로시간처럼 사용이 되는 걸까요? 또 209시간은 대체 어떻게 계산을 하였기에 나오는 걸까요? 우선, 기본적으로 ‘소정근로시간’이라는 말을 아셔야 합니다. 소정근로시간. 즉, 미리 정해진 사용자와 근로자간 근로시간이라는 뜻입니다. 흔히들 말하는 법정근로시간은 일 8시간, 주 40시간을 뜻합니다. 여기서 추가가 된다면 그건 법정근로시간을 초과한 근로이므로, 연장근로시간이 되겠습니다. 그럼 도대체 209시.. 2021. 4. 2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