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유의사항]
※ 해당 게시글은 참조용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그러므로, 해당 게시글 또는 자료들을 법률적인 용도로 사용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 찾으시는 키워드나 단어가 있을 경우 Ctrl+F를 사용하셔서 검색하시길 바라겠습니다.(PC기준)
※ 보다 자세한 내용을 원하실 경우 관련 기관 및 전문가분들에게 도움을 구하시길 바라겠습니다.
※ 법령 개정으로 인하여 게시물에 있는 해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질문]
※ 고열 측정이 제19조 2항의 적용 대상이 되려면 제2조(정의) 7.에 명시된 적용 대상과 방법이 일치하여야 하나 그 대상이 일치하지 않으며, 또 제31조에 별도의 측정방법이 명시되어 있는 것으로 볼 때 적용대상이 되는지 |
[답변]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제189조에 따르면, 모든 측정은 개인 시료채취방법으로 하되, 개인 시료채취방법이 곤란한 경우에는 지역 시료채취방법으로 실시하도록 규정하고 있음 -. 이는 곧, 작업환경측정 방법이 개인 시료채취방법 또는 지역 시료채취방법 둘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실시해야 함을 의미함 ※ 위 시행규칙 제189조제3항에 따라 「작업환경측정 및 정도관리 등에 관한 고시」에서 입자상물질・가스상물질・소음의 측정방법을 개인 시료채취 또는 지역 시료채취 방법으로 구분하여 그 구체적인 측정방법을 규정하고 있으며 -. 고열의 경우, 명시적으로 ‘지역 시료채취방법’이라는 표현은 없지만 특정 위치에 측정기를 고정하여 측정한다는 측면에서 ‘지역 시료채취방법’으로 측정하도록 규정하고 있음 ※ 한편, 현행 고시 제19조에서 개인 시료채취나 지역 시료채취 시 근로자수나 작업장 면적이 늘어날수록 시료채취수를 늘리도록 하고 있는데, 이 규정이 측정값의 통계적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규정된 것임을 고려할 때 고열이라 하여 달리 적용된다고 볼 사항이 아님 -. 따라서, 관련 법령 및 고시 내용 등을 종합할 때, 고열의 경우도 단위작업 장소에서 측정을 할 때, 다른 유해인자와 마찬가지로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최소 2개 이상의 시료를 채취하여야 함 |
출처: 산업보건기준과-1839, 2020.4.21. |
[참조 및 관련 콘텐츠]
산업안전보건법시행령 | 국가법령정보센터 | 법령 > 본문 (law.go.kr)
산업안전보건법시행령 | 국가법령정보센터 | 법령 > 본문
산업안전보건법시행령 [시행 1994. 12. 23.] [대통령령 제14447호, 1994. 12. 23., 타법개정]
www.law.go.kr
'각종 질의회신/↘ 산업안전보건법 질의회시' 카테고리의 글 목록
일상생활속에서 얻게 되는 정보를 함께 나누고 싶습니다.
lecaf.tistory.com
/끝/.
'각종 질의회신 > ↘ 산업안전보건법 질의회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안법) - 단시간의 용접작업을 할 경우 작업환경측정 항목 선정 질의 (0) | 2023.02.19 |
---|---|
(산안법) - 야자보행매트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의 작업환경측정 대상 유해인지 여부는? (0) | 2023.02.19 |
(산안법) - 작업환경측정 결과 해당 유해인자가 허용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과태료의 부과기준 (0) | 2023.02.19 |
(산안법) - 지정기관 행정처분시 ‘업무정지’의 범위에 대한 질의 (0) | 2023.02.19 |
(산안법) - 작업환경측정 주기 관련 질의 (0) | 2023.02.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