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의회시'를 참고하셔야 하는 이유]
ㆍ 현업의 많은 실무자분들과 지방노동관서에서 근무하시는 근로감독관분들도 많이 참고 하십니다. ㆍ 누적 된 여러 사례들을 통하여 논리적인 해법과 근거를 찾을 수 있습니다. ㆍ 담당 기관에서 회시하는 답변으로서 신뢰도가 높습니다. ㆍ 이러한 것들을 종합하여 노사간의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습니다. |
[ 질 의 ]
ㆍ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노동위원회의 차별시정 명령에 따라 사용자가 지급한 배상액이 임금에 해당하는지 ?
[ 회 시 ]
ㆍ 「기간제법」 제13조제1항에 따른 배상액은 사용자의 차별적 처우에 대한 시정명령 중 하나로써, 동법 제13조제2항에 차별적 처우로 인하여 기간제근로자 등에게 발생한 손해액(임금 및 기타금품)을 기준으로 정함을 명시하고 있고,
ㆍ 또한, 배상액에는 손해액과 더불어 손해배상액도 포함될 수 있으므로 이를 「근로기준법」 상 임금으로 보기 어렵다고 할 것입니다.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13조]
종합법률정보
종합법률정보에서는 시행중인 법령중 가장 최근에 공포된 법령을 최신공포법령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동일한 공포일자의 법령이라도 개별 조문의 시행시기는 부칙에 따라 시행일이 다를 수
glaw.scourt.go.kr
【회시번호: 근로기준정책과‒4477】
[함께 보면 좋은 글들]
▼
▼
'인사총무 업무정보' 카테고리의 글 목록
일상생활속에서 얻게 되는 정보를 함께 나누고 싶습니다.
lecaf.tistory.com
'각종 질의회신 > ↘ 근기법 관련 질의회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사의 경영상태가 안좋을 경우에도 상여금을 꼭 줘야할까?? (0) | 2021.09.24 |
---|---|
상여금 지급일에 휴직중인 직원이 있다면 상여금을 지급해야 할까? (0) | 2021.09.24 |
지급일 기준 근로자에게만 지급하는 명절휴가비는 평균임금에 포함될까?? (0) | 2021.09.24 |
회사가 100%부담하는 건강보험료는 평균임금에 포함이 될까?? (0) | 2021.09.24 |
가족수에 따라 지급되는 가족수당은 평균임금에 포함될까?? (0) | 2021.09.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