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각종 질의회신/↘ 근기법 관련 질의회시

회사가 100%부담하는 건강보험료는 평균임금에 포함이 될까??

by Spurs-* 2021. 9. 24.

[회사가 100% 부담하는 건강보험료의 일부가 임금에 해당할까?]


['질의회시'를 참고하셔야 하는 이유]

 현업의 많은 실무자분들과 지방노동관서에서 근무하시는 근로감독관분들도 많이 참고 하십니다.

누적 된 여러 사례들을 통하여 논리적인 해법과 근거를 찾을 수 있습니다.

담당 기관에서 회시하는 답변으로서 신뢰도가 높습니다.

이러한 것들을 종합하여 노사간의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습니다.
 [ 질 의 ]

건강보험료 중 회사가 납부해 준 근로자부담분이 평균임금에 해당하는지 ?
건강보험료 부담금 상당액이 명예퇴직금 계산에도 포함되는지 ?

 

ㆍ 당사의 취업규칙은 회사가 국민건강보험제도에 따른 건강보험료의 100%를 납부하도록 규정하고 있고, 그에 따라 당사는 건강보험료 회사부담분 뿐만 아니라 근로자들의 본인부담액까지 납부하고 있음.

 

그런데 위와 같이 당사가 취업규칙에 따라 근로자들이 부담하여야 하는 건강 보험료까지 회사가 납부해 온 경우에 회사가 부담하여 온 근로자부담분 건강 보험료가 「근로기준법」 상 퇴직금 산정을 위한 평균임금에 포함되는지 여부에 관하여 견해가 대립하고 있음.

 

 

[ 회 시 ]

ㆍ 평균임금 포함 관련

-. 「근로기준법」 제2조제1항제6호의 규정에 따라 ‘평균임금’ 이란 이를 산정하여야 할 사유가 발생한 날 이전 3개월 동안에 그 근로자에게 지급된 임금의 총액을 그 기간의 총 일수로 나눈 금액을 말하며, 상기의 ‘임금’이란 같은 법 제2조제1항제5조의 규정에 따라 사용자가 근로의 대가로 근로자에게 임금, 봉급, 그밖에 어떠한 명칭으로든지 지급하는 일체의 금품을 말함.

 

 

ㆍ 귀 질의만으로 구체적인 사실관계를 알 수 없어 명확한 답변은 드리기 어려우나,
취업규칙에 의해 법령상 근로자가 부담하여야 하는 건강보험료를 회사가 납부하고 그에 해당하는 금액을 계속적・정기적으로 근로자에게 지급해 온 경우라면 이는 근로의 대가로서 임금에 해당할 것으로 사료됨.

 

 

ㆍ 명예퇴직금 포함 관련

-. 귀 질의만으로 구체적인 사실관계를 알 수 없어 명확한 답변은 드리기 어려우나, 명예퇴직금과 관련한 사항은 법에 정함이 없으므로 노사 간에 정하면 될 것임.

 

【회시번호: 근로기준정책과‒3623】


[함께 보면 좋은 글들]

 ▼ 

 

'인사총무 업무정보' 카테고리의 글 목록

일상생활속에서 얻게 되는 정보를 함께 나누고 싶습니다.

lecaf.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