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무자들이 '질의회시'를 참고하셔야 하는 이유 ]
1. 현업의 많은 실무자분들과 지방노동관서에서 근무하시는 근로감독관분들도 많이 참고 하십니다. 2. 누적 된 여러 사례들을 통하여 논리적인 해법과 근거를 찾을 수 있습니다. 3. 담당 기관에서 회시하는 답변으로서 신뢰도가 높습니다. 4. 이러한 것들을 종합하여 노사간의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습니다. |
【질 의】
ㆍ 진정인 등의 근로형태는 일주일에 3일, 하루 8시간 근무하는 형태로 임금은 일당(일당 39,500원)으로 정한 후 매월 정기임금지급에 지급하고 있는 바, 이들이 해고예고 없이 해고를 당한 경우 해고수당 지급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이견이 있어 질의함
<갑설>
ㆍ 「근로기준법」 제32조[현 「근로기준법」 제26조]에 해고예고수당은 일일 통상임금의 30일분이라고 규정하고 있으므로 일당 39,500원에 30을 곱한 금액이 되어야 함.
<을설>
ㆍ 갑설)과 같이 해고예고수당이 산정된다면 다른 근로자들과의 형평성 문제가 있고 또한 진정인들은 월급(일당 × 출근일수)으로 임금을 받기 때문에 월급 통상임금이 적용되어야 하므로 월의 통상임금산정기준시간에 시간급을 곱한 금액이 되어야 함.
【회 시】
ㆍ 「근로기준법」 제21조[현 「근로기준법」 제2조](단시간근로자의 정의)는 ‘1주간의 소정 근로시간이 당해 사업장의 동종업무에 종사하는 통상근로자의 1주간의 소정근로 시간에 비하여 짧은 근로자’를 단시간근로자로 정의하고 있음.
귀 질의상의 해고 예고수당지급요구 진정을 제기한 민원인들이 이에 해당한다면 동 근로자들의 해고예고수당 산정기초인 일급통상임금은 동법 시행령 별표 1의2 [현 「근로기준법 시행령」 별표 2] “단시간근로자의 근로조건 결정기준 등에 관한 사항”에 의거 산정 하여야 할 것임.
【참조 법 조항】
【회시번호: 근로기준과‒470】
'각종 질의회신 > ↘ 근기법 관련 질의회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약직 근로자도 기간 만료전에 해고예고를 해야 하는지? (0) | 2021.09.09 |
---|---|
계약기간 종료 통보 후 만료 된 뒤에도 출근을 한다면? (0) | 2021.09.03 |
장기 무단 결근했는데도 '해고예고수당'을 줘야하나요? (0) | 2021.09.03 |
30일 전 해고예고를 할 때.. 그 30일 전의 계산 시점은? (0) | 2021.09.03 |
원직복직 명령을 받았으나 원 부서가 해체되어 없을 경우? (0) | 2021.09.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