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무자들이 '질의회시'를 참고하셔야 하는 이유
◆ 현업의 많은 실무자분들과 지방노동관서에서 근무하시는 근로감독관분들도 많이 참고 하십니다.
◆ 누적 된 여러 사례들을 통하여 논리적인 해법과 근거를 찾을 수 있습니다.
◆ 전담 기관에서 회시함으로서 답변의 신뢰도가 높습니다.
◆ 이러한 것들을 종합하여 노사간의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습니다.
【질 의】
◆ ○○시는 단시간근로자와 “1일 2시간(주당 14시간) 정상근무하고, 1일(토요일 제외) 2시간 초과근무(주간 12시간)를 한다”라고 근로계약을 체결하였음.
◆ 이 경우 주 12시간의 초과근로시간을 소정근로시간에 포함하여야 하는지 ?
소정근로시간에 포함 할 경우 주당 소정근로시간이 26시간이 되어 「근로기준법」 제55조(주차)와 제60조(월차)에 의하여 주차와 월차 지급대상인지 ? 「근로자퇴직 급여보장법」 제3조와 제4조에 의하여 퇴직금 지급 대상인지 ?
【회 시】
◆ 「근로기준법」 제18조제3항에 따라 4주 동안을 평균하여 1주 동안의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미만인 근로자에 대하여는 휴일, 연차유급휴가, 퇴직급여제도가 적용되지 않으며,
◆ 이때 소정근로시간이라 함은 동법 제2조제1항제7호에 따라 동법 제50조에 따른 법정근로시간의 범위에서 근로자와 사용자 사이에 정한 근로시간을 말함.
◆ 귀 질의와 같이 근로계약 체결시 ‘1일 2시간(주당 14시간) 정상 근무하고, 1일 (토요일 제외) 2시간 초과근무(주당 12시간)를 한다’고 정한 경우
◆ 근로계약 체결 당시 토요일을 제외한 1일 2시간의 초과근무를 의무적으로 하도록 한 점, 필요에 따라 연장근로를 실시하기로 정하였다고 보기는 어려운 점 등으로 보아 달리 볼 사정이 없는 한 당사자 간 근로하기로 미리 정한 근로시간으로 보아서 주 26시간을 소정근로시간으로 하는 근로계약을 체결하였다고 볼 수 있는 바, 동법 제55조 및 제60조,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 제4조 및 제8조에 따른
법적 지급요건 발생 시 지급대상 근로자임을 알려드림
◆ 다만, 당사자의 진정한 의사가 토요일을 제외한 1일 2시간에 대해 초과근무를 하기로 정하였다고 볼 수 있거나, 해당 근로자의 근무실태가 매일 4시간 (토요일은 2시간)으로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1일 2시간에 대하여는 의무적으로 근로하고 나머지 근로시간은 일시적 필요에 따라 연장근로가 이루어진 경우라면 소정근로시간에서 제외될 수 있다고 사료됨
【참조 법 조항】
[ 근로기준법 제 18조 ]
근로기준법
www.law.go.kr
【회시번호: 근로기준과‒5085】
/끝/.
'각종 질의회신 > ↘ 근기법 관련 질의회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승진을 일정 기간 못할 경우 직급정년제도로 퇴직 시킬 수 있나요? (0) | 2021.08.27 |
---|---|
해외 파견 연수 후 의무근무약정 계약이 위법인지? (0) | 2021.08.26 |
근로기준법과 기간제법의 관계 및 우선적용 여부? (0) | 2021.08.26 |
근로계약을 전자문서 방식으로 체결해도 괜찮나요? (0) | 2021.08.26 |
사직서의 효력이 발생하는 기간? (0) | 2021.08.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