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의회시'를 참고하셔야 하는 이유]
ㆍ 현업의 많은 실무자분들과 지방노동관서에서 근무하시는 근로감독관분들도 많이 참고 하십니다. ㆍ 누적 된 여러 사례들을 통하여 논리적인 해법과 근거를 찾을 수 있습니다. ㆍ 담당 기관에서 회시하는 답변으로서 신뢰도가 높습니다. ㆍ 이러한 것들을 종합하여 노사간의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습니다. |
[ 질 의 ]
ㆍ 직원 3명이 퇴직금 중간정산을 신청하여, 퇴직금계산을 하려고 하는데 상여금 계산 때문에 의문이 있음.
퇴직금 중간정산 기준일 : 2003.1.31.
상여금 계산 시 중간정산 기준일로부터 1년 치를 기준으로 3개월 치 평균임금을 구하는데, 위의 3명은 2002.2.1.~2003.1.31. 동안 7번의(700%) 상여금을 받았음.
회사취업규칙에는 매분기, 설, 추석에 각 100% 지급하기로 되어있으나, 직원 3명은 위 기간 동안 ’02년 구정, ’03년 구정 상여금을 받아 700%가 된 것임.
이 경우 평균임금 산정대상 상여금을 600%로 해야하는지, 700%로 해야하는지 ?
[ 회 시 ]
ㆍ 퇴직금 산정의 기초가 되는 평균임금은 「근로기준법」 제19조[현 「근로기준법」 제2조] 규정에 의거 이를 산정하여야 할 사유가 발생한 날 이전 3월간에 그 근로자에 대하여 지급된 임금총액을 그 기간의 총일 수로 나눈 금액을 말함.
ㆍ 상여금의 지급 등에 대하여는 「노동관계법」에 별도 규정되어 있지 아니하나, 취업규칙 등에 지급조건, 금액, 지급시기가 정해져 있거나 전 근로자에게 관례적으로 지급하여 사회통념상 근로자가 당연히 지급 받을 수 있다는 기대를 갖게 되는 경우에는 근로의 대상성을 갖는 임금으로 보고 있음.
ㆍ 한편 상여금의 지급률을 연간단위로 설정하여 1개월을 넘는 단위로 지급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를 지급 받은 그 월의 임금으로 취급하여 일시에 전액을 평균임금에 산입하는 것이 아니며, 평균임금을 산정하여야 할 사유가 발생한 날 이전 12개월의 기간 동안에 지급 받은 상여금 전액을 그 기간 동안의 근로월수로 분할 계산하여 즉, 3/12을 평균임금산정 기준 임금총액에 산입함.
ㆍ 반면에 근로월수가 1년 미만인 경우에는 당해 근로월 중에 지급 받은 상여금 전액을 그 근로월수로 분할 계산하여 평균임금산정 기준 임금총액에 산입하여야 함.
ㆍ 따라서 귀 질의와 같이 상여금의 지급률이 연간단위로 확정되어 있는 상황에서 역일상 1년의 기간 내에 동일한 명목의 상여금(귀 질의 상 설 상여금)이 중복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연간 지급률을 초과하여 상여금을 지급한 경우라 하더라도 평균임금 산정의 기초가 되는 임금총액에는 연간단위의 지급률을 한도로 계산된 상여금만을 분할하여 산입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사료됨.

[상여금 평균임금 산입 판례]
국가법령정보센터 | 판례 > 임금
임금 [대법원 2002. 6. 11., 선고, 2001다16722, 판결]
www.law.go.kr
【회시번호: 임금 68207‒120】
[함께 보면 좋은 글들]
▼ ▼ ▼
'인사총무 업무정보' 카테고리의 글 목록
일상생활속에서 얻게 되는 정보를 함께 나누고 싶습니다.
lecaf.tistory.com
'각종 질의회신 > ↘ 근기법 관련 질의회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정기간에 지급하는 수당은 평균임금에 포함될까? (0) | 2021.09.23 |
---|---|
개인사유로 휴직했을때, 그 기간을 평균임금에 포함해야 하는지? (0) | 2021.09.23 |
파업 또는 휴업으로 인한 기간은 평균임금에 포함이 될까? (0) | 2021.09.23 |
업무상 재해로 장기휴직을 하다 퇴사할 경우 평균임금의 시점은? (0) | 2021.09.23 |
무사고 격려금(안전장려금)은 평균임금에 포함될까? (0) | 2021.09.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