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무자들이 '질의회시'를 참고하셔야 하는 이유 ]
1. 현업의 많은 실무자분들과 지방노동관서에서 근무하시는 근로감독관분들도 많이 참고 하십니다. 2. 누적 된 여러 사례들을 통하여 논리적인 해법과 근거를 찾을 수 있습니다. 3. 담당 기관에서 회시하는 답변으로서 신뢰도가 높습니다. 4. 이러한 것들을 종합하여 노사간의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습니다. |
【질 의】
ㆍ 「근로기준법」 제26조 해고예고가 구두로도 가능한지 여부
【회 시】
ㆍ 「근로기준법」 제26조(해고의 예고)에서는 해고 예고의 방법은 규정하고 있지 않아 고용노동부 해고예고 관련 민원 처리지침(근로기준팀‒8048, 2007.11.29.)에 해고예고는 반드시 서면으로 할 필요가 없고 구두 등의 방법으로 하더라도 그 효력이 인정 된다고 규정하고 있음.
【참조 법 조항】
[근로기준법 제26조 해고의예고]
종합법률정보
종합법률정보에서는 시행중인 법령중 가장 최근에 공포된 법령을 최신공포법령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동일한 공포일자의 법령이라도 개별 조문의 시행시기는 부칙에 따라 시행일이 다를 수
glaw.scourt.go.kr
【회시번호: 근로개선정책과‒5318】
'각종 질의회신 > ↘ 근기법 관련 질의회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동조합이 없는 회사의 근로자 대표는? (0) | 2021.09.13 |
---|---|
산별노조(상부단체)의 교섭권한에 대한 거부권 행사? (0) | 2021.09.13 |
육아휴직중인 근로자를 정리해고 할 수 있을까? (0) | 2021.09.13 |
근로자 귀책사유로 해고 할 경우에도 해고예고를 해야 하나요? (0) | 2021.09.13 |
근기법의 '긴박한 경영상 필요'의 판단기준은? (0) | 2021.09.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