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유의사항]
※ 해당 게시글은 참조용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그러므로, 해당 게시글 또는 자료들을 법률적인 용도로 사용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 찾으시는 키워드나 단어가 있을 경우 Ctrl+F를 사용하셔서 검색하시길 바라겠습니다.(PC기준)
※ 보다 자세한 내용을 원하실 경우 관련 기관 및 전문가분들에게 도움을 구하시길 바라겠습니다.
※ 법령 개정으로 인하여 게시물에 있는 해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질문]
※ 당 사업소는 법인체인 본사와 각 지역마다 성격이 다른 4개의 제조업체에는 본사에서 임명한 임원인 사장과 전무가 있음. 또한 월급제인 관리직 사원과 일급제인 생산직 사원으로 구분되며 노동조합은 조직되어 있지 않아 노사협의회를 통하여 노사간 협의사항 및 의결사항 외에도 생산직 근로자의 임금협상 및 인상률 결정,상여금 지급시기 등을 변경•결정하고 있음 ※ 질의 가) 위와 같은 경우 본사의 직영사업소인 당사업소에서 본사 규정과는 별도의 임금인상,제수당 지급,상여금 지급기준 등을 노사협의와 합의로 정하였을 때 본사 규정과 사업소 노사 합의사항 중 어느 것을 우선 적용해야 하는지? ※ 질의 나) 당 사업소에는 노동조합이 설치되어 있지 않고 자체 노사협의회를 통하여 임금과 관련된 사항을 노사합의로 결정하고 있음. 이 경우 노사협의회의 협의사항이 아닌 단체교섭사항을 다루었다고 노사협의회에서 합의된 사항이 효력이 없는 것인지? |
[답변]
※ 질의 가)에 대하여 -. 귀하가 질의하신 내용은 본사 규정과 지역사업소의 노사협의회 합의사항 가운데 어느 것이 우선 적용되는가 하는 문제로서 이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먼저,본사와 지역사업소의 소유,지배관계(예: 독립채산제 등), 본사 규정의 효력 범위,임금 및 기타 근로조건의 결정권이 어디에 있는지 여부,각 지역 사업소의 근로조건 결정권의 범위,그간 행해오던 관행 등을 구체적으로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됨 ※ 질의 나)에 대하여 -. 노사협의회에서 합의된 사항은 그 사항이 위법•부당하지 않은 한 당사자 간 유효하다 할 것임 |
참고: 노사 68107-217, 1998.7.28 |
[관련 콘텐츠]
끝.
'각종 질의회신 > ↘ 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 관련 질의회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사협의회에서 합의된 임금 등 근로조건이 조합원에도 적용 될까? (0) | 2023.11.10 |
---|---|
노사협의회 의결사항의 유효기간은? (0) | 2023.11.10 |
분임 노사협의회 합의사항 미이행 시 법 위반 여부는? (3) | 2023.11.09 |
의결을 거치지 않고 시행한 의결사항의 효력은? (1) | 2023.11.09 |
의결사항 중 ‘복지시설의 설치와 관리’의 의미는? (0) | 2023.11.08 |
댓글